분류 전체보기54 홍채인식을 하는 이유 |홍채, 넌 누구냐? 홍채는 납작한 도넛 모양의 막으로, 안구의 '각막'과 '수정체'사이에 있습니다. 홍채 중앙에 비어 있는 공간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동공'입니다. 빛은 각막을 거쳐 동공을 통해 들어오는데, 동공의 크기에 따라 안구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결정됩니다. 이 동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게 홍채입니다. 홍채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카메라의 조리개처럼 동공의 크기를 조절합니다. |왜 홍채일까? 이유1 : 홍채가 같을 확률은 1/10억현재 가장 널리 사용 중인 생체 인식은 '지문인식'인데, 간편하고 효율적인 기술임은 분명하지만 지문이 손상되거나 성장과정에서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 1억 개의 손가락 지문마다 동일한 지문이 한 번씩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사람의 손가락은 .. 2017. 9. 4. 바이러스가 경제를 잡아먹는다? |바이러스는 경제도 병들게 한다.작년 5월에 남미의 브라질에서는 '리우 올림픽'이 열렸습니다. 4년에 한 번 열리는 세계 최대 스포츠 이벤트인 만큼 전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었었습니다.하지만 축제 분위기로 들썩거려야 할 브라질은 올림픽이 열리기 전 울상이였습니다. 브라질이 지카 바이러스의 진원지로 알려지면서 몇몇 국가들이 올림픽 불참까지 고려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지카 바이러스는 정상인보다 뇌가 작게 태어나는 신생아 소두증을 유발한다는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덩달아 '올림픽 특수'를 노리던 브라질 경제도 시름에 빠졌습니다. 브라질에서 관광 산업이 창출하는 일자리는 약 880만 개 수준입니다. 브라질 정부는 일자리를 더 늘리기 위해 391억 헤알(11조 6,000억 원)이라는 엄청난 돈을 투자해 올림픽을 .. 2017. 9. 3. 암 발생과 관련된 유전자 세포주기 동안 세포 성장 및 분열을 조절하는 유전자는 성장인자, 성장인자 수용체, 세포내 신호전달 단백질 등을 생산합니다. 체세포에서 이들 유전자 중 어떤 것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암이 발생합니다. 암을 유발하는 돌연변이는 자발적으로 생겨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화학적 발암물질, X선, 고에너지파 및 바이러스와 같이 환경적 요인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911년 라우스(Peyton Rous)가 닭에서 암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처음으로 발견하였으며, 이때부터 암 연구는 본격화 되어 많은 연구자들이 암을 유발하는 종양 바이러스(tumor virus)를 규명하게 되었습니다. 전염성 단핵증을 일으키는 엡스타인-바(Epstein-Barr) 바이러스는 여러 종류의 암, 특히 버킷 림프종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2017. 9. 1. 신종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날까? 갑자기 나타나거나 또는 의학계에 새로 보고되는 바이러스를 보통 신종 바이러스(emerging virus)라 합니다.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를 전형적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HIV는 1980년대 초에 샌프란시스코에 난데없이 나타난 것처럼 보였습니다. 이후의 연구를 통해 벨기에령 콩고에서 나타난 사례는 195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1976년 최초로 중앙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에볼라바이러스는 출혈열을 일으키는 여러 종의 신종 바이러스 가운데 하나입니다. 출혈열은 고열, 구토, 다량의 출혈, 순환계장애 등의 여러 증상을 동반하며 종종 치명적입니다. 뇌염을 일으키는 여러 종의 위험한 바이러스 또한 신종 바이러스에 속합니다. 한가지 예가 웨스트나일바이러스(West Nile virus) 로.. 2017. 9. 1.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